본문 바로가기

Javascript39

JavaScript - Array(배열) 배열을 사용하면 몇 천 개의 변수를 생성하지 않고, 하나의 변수에 모든 데이터를 갖고 있을 수 있다. 배열은 대괄호([])로 감싸져있다. 위 배열은 데이터가 하나도 없는 빈 배열이다. 데이터가 있는 배열을 만들어 본다면, let cities = ["서울", "대전", "대구", "부산", "광주", "제주도"]; let KOSPI = [2062.82, 2053.2, 2045.92, 2058.82, 2053.12, 2055.7]; "서울", "대전"과 같은 배열의 값, 하나하나를 Element(요소)라고 부른다. 요소와 요소 사이에는 쉼표로 구분한다. 요소는 어떤 type도 가능하다.(예. string, number, array) 배열의 요소는 순서(index)를 갖고 있다. 특징은 1부터 시작하는 게 아.. 2020. 6. 21.
JavaScript- 매개변수와 인자, 여러인자 1. 매개변수(parameter) 함수를 정의하면서, 함수 선언식의 괄호'()'안에 어떤 변수명을 쓰면, 우리는 그걸 매개변수라고 부른다. 매개변수는 이름처럼 실제로 함수 안쪽에서 변수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함수가 호출될 때, 값을 전달받게 되면, 매개변수에 값이 정의된다. 2. 인자란 어떤 함수를 호출하면서, 호출문의 괄호 안에 어떤 값 또는 값이 정의된 변수를 쓰면, 우리는 그걸 인자라 부른다. 함수에서 매개변수를 적어둔 상태라면, 호출 시 인자로 전달한 값은 매개변수를 통해 사용 가능하게 된다. // doubleNumber 함수 선언식 function doubleNumber(myNumber) { // 2020. 6. 21.
JavaScript - 데이터 받기, 반환하기 1. 함수에 데이터(= 인자, argument) 전달하기 function test() { alert("로그인 성공!"); } test 함수의 alert에서 상황에 맞게 메시지를 바꾸고 싶다면 함수를 호출할 때 데이터를 전달하고, 전달받은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데이터를 전달 받는 함수의 정의) function test(a) { alert(a); } 함수의 호출(데이터 전달) test("김개발님 로그인 성공!"); test("박사장님 로그인 성공!"); 데이터를 전달 받는 함수의 재정의 "님 로그인 성공!"이 중복되므로, 중복을 줄이기 위해 재정의 function test(name) { alert(name + "님 로그인 성공!"); } 함수의 호출(데이터 전달) test("김워크"); ⚠️ 함수 내부에.. 2020. 6. 21.
JavaScript - 비교연산자와 논리연산자 비교 연산자는 string끼리 비교할 수도 있고, 숫자와 string을 비교할 수도 있고, 같은, 더 큼, 더 작음 등등 여러 가지 비교를 할 수 있다. ===는 값이 서로 같은지를 비교하는 equality operator(동등 비교 연산자)이다. if (fullName === familyName + " " + "개발") { } if (fullName === familyName + " " + firstName) { } if (totalCost === 81.50 + 135) { } if (totalCost === average + 135) { } 컴퓨터는 무조건 왼쪽부터 코드를 실행하지 않고, 비교연산자가 있을 때는, 비교 연산자 기준으로 왼쪽/오른쪽 나눠서 코드를 실행하게 된다. !=== 이렇게 같은지를.. 2020. 6. 21.